안녕하세요 천문학도입니다.국립대 마지막 코스인 경북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확실히 주의할 점은 천문기상학과이기에 반쪽짜리 천문학과라고 여겨지는데요
-교과과정
천문학 개설과목이 정말 절반정도 밖에 없군요.제가 알기론 경북대에 천문학이 개설된 과목이 많지 않아서
제가 다니던 대학교에 학점 교류로 왔던 학생까지 있었습니다.
허나 굵직한 과목들인 일반천문학,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과학 등등 주요 과목들은 들을 수 있지만
어떤 심화과정까지는 다루기엔 다소 벅찬 교과과정으로 보입니다.
졸업을 할려면 기상수업까지 들어야할텐데..천문학을 배우고 싶다면 시간이 아까울 수 있으니 저는 타대학의 천문학과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알기론 경북대 천문기상학과 출신 중 공무원 시험을 응시해서 기상공무원쪽으로 빠지는 분들이 많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비단 경북대뿐만 아니라 천문학 전공하신 분들이라면 기상공무원도 하나의 취직 루트라고 생각이 듭니다.
-교수진들
9명 중 5명이 기상관련 교수님들이시고 4명이 천문학 전공입니다.
박명구 교수님 전공분야가 반갑게도 블랙홀이군요.
국내에 몇 없는 블랙홀 전공 교수입니다만..오래전에 전공하시고 지금은 딴 분야 연구하실 수도 있기에
정보를 잘 찾아봐야합니다.
그외엔 젊은 교수님으로 보이시는 초거대 블랙홀을 전공하신 김재영 교수님 홈페이지를 들어가봤습니다.
다른 교수님들의 홈페이지는 가독성이 안좋은 부분들이 꽤 있으니 참고하시길..
각 학교별 천문학과 교수님들 분야를 보다보면 초거대블랙홀,활동성 은하핵 연구하시는 분들이 보이시는데
한가지 예로 아 이런 세가지 관점으로 연구하시는 분이 있구나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연구 영역
-망원경 및 천문대 유무
아쉽게도 자체적으로 천문대는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 보현산 천문대와 협력하여 관측을 배울 수 있는 점이 이점이라고 여겨집니다.
연구실 소개는 이게 끝인거 같아서 아쉽습니다..
충남대 천문학과편도 아쉬웠지만 뭔가 정보력에 있어서 경북대 천문기상학과 편도 많이 알아보지 못해서
다소 아쉽군요.
다음 편은 세종대 물리천문학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Department of Astronomy and Atmospheric Sciences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em>천문대기과학전공</em> 홈페이지 입니다.
hanl.knu.ac.kr
'천문학 관련 이야기 > 천문학 관련 대학교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8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7탄 세종대학교 (2) | 2024.02.11 |
---|---|
제 6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5탄 충남대학교 (1) | 2024.02.11 |
제 5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4탄 충북대학교 (2) | 2024.02.11 |
제 4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3탄 경희대학교 (2) | 2024.02.06 |
제 3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2탄 연세대학교 (0)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