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관련 이야기/천문학 관련 대학교 소개

제 4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3탄 경희대학교

천문학도님 2024. 2. 6. 21:37

이번 시간에는 서울대,연세대 다음으로 인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희대 우주과학과입니다.

저 또한 수시논술을 보러 갔던 학교이기도 합니다.아쉽지만? 경희대 국제캠퍼스에 있는 학과라

용인으로 가셔야 한다는점..단점이지만 그만큼 캠퍼스는 이뻤던 기억이 있습니다.

 

-교과과정

교육과정-학부과정-개설교과목 클릭하시면 교과목을 볼 수 있습니다.

뭐야 왜이리 많아 할 수도 있지만..그만큼 천문학 할려면 배울 과목들이 너무너무 많습니다..ㅠㅠ

하나하나 클릭하면 그 과목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간략하게 알 수 있습니다.교과 과목 보는 가독성은 경희대가

잘 되어 있는거 같군요.

 

보통 1학년때는 고등학교때 배우는 미분,적분 확장판으로 미분적분학 기초를 다지고 물리도 배우는데 고등물리 확장판으로 일반물리를 배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추후에 선형대수라는 과목도 배우실텐데...이 과목은 흔히 말하는 4대역학[전자기학,고전역학,열역학,양자역학]을 배울때 기초가 됨으로 꼭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과목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복수전공을 하다가 중단한 케이스이긴 하지만 실제로 물리학과 가서 양자역학 수업들을때 선형대수 공부한게 큰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여기는 교과 과목을 보면 인공위성 관련 과목이  눈에 띄네요.제가 듣기론 인공위성 쪽으로 유명한 연구실이 하나 있다는걸 알고 있네요.

012

아니 사진이 무슨 90년대초반을 암시하네요...제가 업로드를 대신 해주고 싶을 정도군요 ㅠ

홈페이지를 클릭하거나 더보기를 클릭해서 교수님 이력 및 연구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젊으신 교수님이 한분 계시길래 연구분야를 살펴봤습니다.

블랙홀,활동성은하핵,제트를 연구 하시는 분이네요.

활동성은하핵의 고에너지의 원천은 핵에 존재하는 블랙홀 떄문입니다.

고로 이 분은 블랙홀 제트를 연구하시는 분이신걸 알 수 있습니다.

 

서울대에는 비슷한 분이 샤샤 트리페 교수님이 있었던거 같네요.

학생들이 흥미로워하는 블랙홀 하시는 분이 서울대에 이어 경희대에도 존재하군요.

 

보통 대학교를 졸업하고 박사따기 까지 평균 7년정도 소요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분도 그 정도 걸리신거 같군요.

그리고 학사 4년+박사 7년 하면 교수되겠지?생각하는 건 큰 착각입니다.박사 이후부터가 진짜 연구의 시작이라서

포스터 닥터라는 기간을 어느정도 보내고 교수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저 교수님도 4년이라는 포스터닥터 시기를 보내고

정교수가 되신 겁니다.

 

고로 학사 4년+박사 7년+포스터닥터 4년=무려 15년

이 포스팅 보시면 어떻게 천문학을 15년 공부해?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정도는 하셔야 교수 되는 겁니다.

허나 이 과정을 겪는다고 해서 모두 교수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자리를 잡지 못하면 포스터닥터 생활[비정규으로 계약하는 경우 다반사]을 계속 이어갑니다.수입원으로 시간강사를 하시는 분들도 참 많습니다.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관련 기사를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박종호 교수님은 최근에도 연구 활동이 활발함을 볼 수 있습니다.

블랙홀이 물질을 내뿜는 제트뿐만 아니라 팽이처럼 도는 사실도 알고 계셨나요?

참으로 매혹적인 기사니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구분야

 

확실히 연구실을 보시면 천문학보단 태양환경과 관련된 우주과학 및 인공위성 관련 연구실이 눈에 뜁니다.

 

우주과학에 흥미를 많이 느끼신다면 경희대에 오시면 축복을 누릴거 같습니다 ㅎㅎ

우주과학에서는 보통 태양에 대해 공부를 많이 합니다.태양 자기장부터 시작해서..고에너지 입자,오로라 등등 제대로 공부할려면 전자기학 개념이 필수입니다!

 

p.s

학과 이력을 보면 신기하게도 위성이야기 무지 많습니다.그만큼 위성에 진심인 학과라는 것이겠죠 ㅎㅎ

bk 사업도 꾸준히 진행중이고..지금은 ing인지는 잘모르겠습니다만 ㅠㅠ

 

-망원경 및 천문대 유무

경희대도 서울대,연대처럼 학교의 천문대를 보유중입니다.

 

 

출처 충북대학교 진천 천문대

다음 시간에는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출처

경희대학교 천문대

https://com.khu.ac.kr/khao/user/contents/view.do?menuNo=8800007

 

경희대학교

 

com.khu.ac.kr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https://space.khu.ac.kr/space/user/main/view.do

 

경희대학교

 

space.khu.ac.kr

한겨례 블랙홀 기사

https://com.khu.ac.kr/khao/user/contents/view.do?menuNo=8800010

 

경희대학교

 

com.kh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