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천문학과 홈페이지는 타대학 천문학과보단 정보를 찾기가 수월하지 않다.
일단 교과과정부터 알아보자
-충남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과과정
2학년때 대학물리학이 있다니 어떤 책으로 진행하는지 모르겠지만 교과과정도 다른 대학과 차이점이 보인다.
과목들이 그리고 엄청 다양하다..이 과목들이 다 깔릴지는 모르겠지만 힘겨워보인다.
행성과학과 캠스톤 디자인..기후변화와 자연재해 이런 과목들은 대체 어떤 의도로 깔린 것인가 의문이 든다..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와 더불어 여기에도 대중천문학과 시사천문학이 눈에 보인다.
아마 충남대 출신들은 근교인 대전 시민 천문대쪽으로 많이 나갈 기회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학교 교수진들
타대학에 비해 너무 오래된 사진도 문제지만...교수님들이 어떤 subject을 연구하는지 한눈에 볼 수가 없다.
더보기란을 클릭하고 노력하고 봤지만 너무 불친절하다.
내가 고3이고 천문학과 진학하고자 한다면 이 사이트를 보고 바로 다른 대학 천문학과를 알아보러 갈 거 같다.
그래도 더보기를 클릭한 결과..영어가 가득하기에 학과안내-실험실 소개란으로 눈길을 돌렸다.
이렇게 세분화 되지 않은 연구실은 처음 본다.실제로 천문학과 있는 대학은 다 가봤지만 충남대 천문학과 건물은 소름돋게도 충북대학교 건물과 아주 유사했다.
-충남대학교 실험실
우주과학 실험실에 김용하 교수님은 아마 은퇴하신건가?
찾아보니 명예교수시다.상당히 홈페이지 관리가 안되보인다..
이유 교수님은 기후변화에 고에너지 입자들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시는 걸로 보인다.
파장에 따른 은하형태의 변화를 연구하는 실험실,어떤 교수가 담당하는지 알 수가 없다.
대체 류동수 교수님의 행방은 어디로 간것인가..찾아보니 울산과기원 교수님이셨다..
조정연 교수님은 천문학적인 자기유체역학과 성간물질,우주적인 난류 등을 연구하시는 분이다.
보통 이론천문학은 시물레이션이 필수다.그러니 코딩과 미리미리 친해지는 건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저번 충북대편에서 키미타케 교수님도 중력파 증명도 시물레이션을 통해 해낸 것이다.
충남대의 현황을 알기 위해서는 홈페이지가 도움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서 기사를 좀 찾아봤다.아쉽지만 좋은 정보들을 찾지 못했다..
이렇게 정보가 적지만 취업정보는 최근에 업데이트가 잘됨을 알 수 있다.
미리 말하지만..천문학 전공한다면 갈 수 있는 취업전선은 보이는게 사실상 전부다.
취업전선이야기는 특별편으로 다룰 것이므로 넘어가겠다.
-망원경 및 천문대 유무
내일로 여행을 갔을때 과동에 돔형태는 본거 같지만 천문대는 찾아보니 따로 없었다.
그만큼 관측 기회가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시간에는 경북대 천문기상학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제발 경북대에는 많은 정보가 있길 바란다 ㅠㅠ
출처
https://astro1.cnu.ac.kr/astro/index.do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astro1.cnu.ac.kr
'천문학 관련 이야기 > 천문학 관련 대학교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8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7탄 세종대학교 (2) | 2024.02.11 |
---|---|
제 7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6탄 경북대학교 (0) | 2024.02.11 |
제 5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4탄 충북대학교 (2) | 2024.02.11 |
제 4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3탄 경희대학교 (2) | 2024.02.06 |
제 3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2탄 연세대학교 (0)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