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관련 이야기/천문학 관련 대학교 소개

제 2편 천문학과 있는 대학 알아보기 1탄 서울대학교

천문학도님 2024. 2. 4. 21:30

고민의 여지없이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보자.

 

1탄에서 이야기했듯이 교수님들을 체크해본다.

관측천문학,이론천문학,태양천문학,천문기기가 보인다.
관측천문학은 한 은하나 행성을 관측하면 적외선 영역대로만 분석하면 적외선 천문학,전파 영역으로만 분석하면 전파천문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태양천문학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태양환경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라고 보면 되겠다. 

이번에는 태양계,항성천문학,거대블랙홀,이론우주론이 등장한다.
태양계는 위에 말한 태양천문학과 크게 다를게 없다고 생각한다.
항성천문학은 은하같은 큰 스케일이 아닌 작은 스케일인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연구한다고 보면 된다.
거대블랙홀은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을 연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론우주론은 간단히 이 우주가 어떻게 진화해왔고 어떤식으로 갈 것인가에 대한 이론이라고 보면 된다.

 
활동성 은하핵,관측우주론,외부은하,성간화학이 등장한다.
활동성 은하핵은 고에너지를 방출하는 은하핵이라고 보면된다.보통 은하핵에 있는 블랙홀 제트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외부은하는 우리 은하 밖에 있는 외부 은하를 연구하고 성간화학은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
 
와 닿지 않는다면 저 집모양 버튼을 누르면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아 교수님들이 이런 연구를 하는구나 오호...
이러면서 천천히 읽어보면서 내가 관심있는 주제와 연관된 교수님을 찾아보면 된다.
 
아니면 연구분야를 클릭하면 큰 숲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보면 서울대는 망원경과 천문대를 아주 다양하게 소유하고 있다.
이 말은 즉슨 관측천문학에 특화되어 있는 대학이라고 볼 수 있다.
들어간다면 아마 관측 기회를 여럿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주 친절히 연구분야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보통 우주과학이라고 부르는 분야에서 태양쪽을 공부 할 수 있다.
그리고 은하 연구 및 우주론,관측 기기

 
이렇게 봤는데도 교수님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면 교수님에게 메일을 보내보자
필자도 메일을 여럿 보냈지만 씹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웬만해선 다들 답장을 친절하게 해주신다.
 
 
교과과정도 보면 좋지만 크게 감이 안올테지만 꼭 봤으면 좋겠다.

 

 

 

대략적으로 보면
보통은 1학년때는 일반물리학을 교양으로 듣고
2학년때는 일반천문학 
3학년때는 항성천문학 및 외부은하
4학년때는 우주과학 및 세부적인 천문학 내용
 
이렇게 듣는 걸로 알고 있다.
 
*참고로 천문학 함에 있어서 코딩은 필수이다.
1학년때는 아마 파이썬 또는 씨언어를 배우고
고학년때는 전산학이란 과목을 통해 1학년때 배운 코딩 언어를 자유롭게 쓰며 그래프로 구현할 시간을 가질 것이다. 
 
 
서울대 홈페이지는 정말 가독성 좋게 해놓은 사이트이다.다른 대학교도 리뷰할테지만 다른 대학교는 정보를
찾기 애매한 경우도 있다..


다음은 연세대학교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홈페이지
https://astron.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