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관련 이야기/천문학 졸업 후 진로

천문학과 졸업 후 진로 1편 천문대 및 과학관

천문학도님 2024. 2. 12. 14:10

-사설천문대

예를 들어 본 어린이천문대 현황

 

이 자그마한 반도에 천문대가 무려 100개가 넘게 있다.자세히 이야기 하면 별 볼 수 있는 곳이 무척 많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오..천문학과 졸업하면 취직할 곳이 많겠는데?실제로 많은 건 사실이다.

 

허나 100개중 비중을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어린이 천문대와 그의 경쟁사로 보이는 주니어천문스쿨이 있다.

어린이 천문대 창립자는 연세대 천문학과 출신으로 알고 있고 주니어 천문스쿨은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출신으로 알고 있다.천문대 이름보단 천문학을 배우러가는 학원이라는 개념이 더 맞다고 보면 된다.

 

아이들에게 천문학 관련 수업을 천문학과 출신 선생님들이 진행을 해주신다.어린 친구들을 가르치다 보면 이런저런 사건들이 발생하는데..엄마들도 나서기 때문에..아이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부모님도 케어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또한 수업 중간중간 아이들 교육하는 모습도 사진 찍어 수업 리뷰느낌으로 해당 천문대 카페에 올려야 한다.

 

너무 안타까운 실정이지만 천문학을 배우러가는 학원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천문학 공부는 할 수 없다.그냥 학원강사가

되는 것과 다름없기에 나는 기피했다.그리고 과외를 여러번 해본 결과..아이를 가르치는 것은 아이를 케어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를 케어해야한다는 것 또한 너무 잘 알아버려서 그냥 준비하던 대학원 준비를 계속하였다.

 

가장 큰 단점은 해가뜨고 해가 지고나서 한참 뒤에 퇴근을 할 수 있기에 저녁 있는 삶은 포기해야 된다.

그리고 주 6일 하는 날이 다반사이기에 근무 강도가 높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허나 충북대와 충남대에서 볼수 있듯이 대중천문학의 연장선이라고 보면 되겠다.아이들에게 천문학 교육을 대중화시키는 것을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과감하게 천문대에 가서 일하는 것을 추천한다.

 

몇년 전,알기로는 신입사원 초봉이 3000이상이였으니 지금도 3000초반이 되지 않을까 싶다.

 

-국공립천문대 및 과학관

 

국립으로 치면 여러가지가 일단 과천과학관이 있다.물론 하는 일은 사설천문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들 오면 교육해주는 건 비슷하지만 여기 또한 돈을 적게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규직 공무원으로 들어온다면 다른 이야기지만 그건 박사급 또는 석사급이라고 보면 된다.

 

국립천문대는 대표적으로 소백산,보현산 천문대가 있다.보현산도 시민용과 관측용이 따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관측 연구천문대에서 일을 하고 싶다면 학사급으로 사실상 불가능하다.석사를 하면서 오퍼레이터도 하면서 경험을 키워나가면서 박사급으로 자리가 있다면 갈 수 있겠지만 그 자리마저도 많지 않기에 쉽지 않다.여기서도 알게 모르게 인맥이 필요하다.소속 학교 선배가 그 천문대에서 일하고 있다면 기회는 그나마 쉽게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립천문대에는 사실상 자기 고유 지역 홍보를 위해서 천문대라는 시설을 만들어놓는다.심지어 대형 망원경이 고장나도

예산 문제?로 고치지를 않는다.그리고 뜻하지 않게 고위직 공무원과 부딪히는 일이 생기는데..그 1명에 따라 천문대 분위기가 좌지우지된다.그리고 손님이 많은 곳은 많지 적을떄는 손님이 없어서 제초까지 한 경험이 있다.하지만 낭만은 있다.

지방이다보니 하늘에서 보는 은하수가 무척 아름답다.하지만 그게 전부다.

 

보통 여기서도 일하는 천문강사들도 정규직이 아니라 계약직 공무원인 형태로 계약을 한다.

근무시간은 사설천문대와 비슷하다.저녁 있는 삶을 기대하지 않아야 된다.그리고 시골이라 마트도 저 멀리 있기에 이만저만 불편한게 너무 많았다.

출처 충북대학교 진천천문대


-총평

천문대와 내가 맞는지 궁금하다면 다니는 천문학과에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때 천문대 인턴 공고가 떨어질 것이다.이 때 한번 지원해서 경험을 쌓아보고 별로다 싶으면 다른 곳으로 가면 된다고 생각한다.필자는 방학때 인턴을 진행하였고 너무나도 내 적성에 맞지 않아 그 길을 선택하지 않았다.그러면 천문학과를 졸업하면 갈 수 있는 곳은 천문대 아니고 없을까?

그 이야기는 다음 편으로 이어가보겠다.

 

출처

https://map.naver.com/p/search/%EA%B5%AD%EB%A6%BD%EA%B3%BC%ED%95%99%EA%B4%80/place/12965666?c=15.00,0,0,0,dh&placePath=%3Fentry%253Dpll

 

네이버 지도

국립과천과학관

map.naver.com

 

출처

http://www.astrocamp.net/sub01/03.php

 

어린이천문대

별을 아는 어린이는 생각이 깊어집니다

www.astrocamp.net